안녕하세요 ^^
이번 포스팅부터는 앞에서 설명해드렸던 주기능을 모든 유형에
대해서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본인의 유형 외에도 여러 유형을 통해서 연습하셔서 주기능
찾기 마스터가 되어보세요!!
1편은 주기능을 감각(S)으로 사용하는 네 가지 유형
ISTJ, ISFJ, ESTP, ESFP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.
ISTJ
1) 주기능 : Si(내향감각)
2) 부기능 : Te(외향사고)
3) 3차기능 : Fi(내향감정)
4) 열등기능 : Ne(외향직관)
ISTJ 유형은 주기능인 감각기능(S)을 내적으로 사용합니다. 그래서 현재 상황에서 이해된
정보를 기본으로 하는 재적인 저장 창고를 가지고 있습니다. 그러므로 ISTJ는 다음을 선호합니다.
■ 실제적인, 민감한, 현실적인
■ 체계적인
또한 ISTJ 유형은 부기능인 사고기능(T)을 외적으로 사용합니다. 따라서 외적으로 논리적으로
결단력 있고 과업 성취에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.
■ 논리적, 분석적
다만 ISTJ 유형은 감정과 직관이 각각 3차기능이 감정기능(F)이기 때문에
자신과 타인의 감정에 귀를 기울이면서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데 감정기능을 활용하려는
노력이 필요합니다. 그리고 결정을 내릴 때 다른 사람의 직관력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.
왜냐하면 ISTJ 유형은 직관기능(N)이 열등기능이기 떄문에 상상력과 추상적이고
이론적인 직관력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소홀히 취급하기 때문입니다.
ISFJ
1) 주기능 : Si(내향감각)
2) 부기능 : Fe(외향사고)
3) 3차기능 : Ti내향감정)
4) 열등기능 : Ne(외향직관)
ISFJ 유형은 사실에 대해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측면을 바라봅니다. 주기능인 감각기능(S)을
내부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내면에는 정보의 창고가 있습니다. 이들은 자신에게 개인적인
의미로 다가왔던 구체적인 일들을 목소리 톤, 표정까지 세세하기 기억합니다.
■ 실제적인, 현실적인
■ 구체적인, 상세한
ISFJ 유형은 감정기능(F)을 부기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결정을 내릴 떄 다른 사람들에 대한
관심을 기초로 합니다. 조화와 화합에 가치를 두고 있으며, 이것을 만들어 내기 위해 일을 합니다.
■ 다른 사람을 고려하는, 협력적인
■ 친절한, 민감한
다만 3차기능인 사고기능의 개발이 필요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세상에 대처하는데 효율적으로
되기 어렵고 감각에만 의존하게 됩니다. 또한 이들은 열등기능인 직관기능(N)을 신뢰하지 않고
의미부여를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보입니다.
ESTP
1) 주기능 : Se(외향감각)
2) 부기능 : Ti(내향사고)
3) 3차기능 : Fe(외향감정)
4) 열등기능 : Ni(내향직관)
ESTP 유형은 감각기능(S)을 주기능으로 하며 외부세계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선호합니다.
앉아서 연구하는 것보다 행동을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우기 떄문에 상황에 뛰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.
■ 관찰이 예리한
■ 실제적인, 현실적인
부기능이 사고기능(T)이기 때문에 논리적인 분석과 원인을 토대로 결정을 내립니다.
■ 논리적인, 이성적인
■ 솔직한, 평가하는
다만 3차기능인 감정기능(F)를 개발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들에게 미칠 자신의 행동영향을
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. 그리고 열등기능인 직관기능(N)을 개발하지 않는다면
추상적인 아이디어, 영감, 이론 등을 소홀히 할 수도 있습니다.
ESFP
1) 주기능 : Se(외향감각)
2) 부기능 : Fi(내향감정)
3) 3차기능 : Te(외향사고)
4) 열등기능 : Ni(내향직관)
ESFP 유형은 주기능이 외향기능(S)이기 떄문에 사람들과 새로운 경험에 흥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
ESTP와 마찬가지로 연구하거나 책을 읽는 것보다는 행동을 통해서 더 많은 것들을 배우기 때문에
어떤 일에 쉽게 뛰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.
■ 관찰이 예리한
■ 실제적인, 현실적인, 구체적인
ESFP 유형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공감과 확인을 통해 결정을 내릴 때, 부기능인 감정기능(F)을
이용합니다. 이들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 익숙하며, 자주 평화주의자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.
■ 사교적인, 낙천적인, 설득력 있는
■ 따뜻한, 공감하는
다만 삶의 가치관이나 자기의 주장을 이끌고 나가기 위해서는 3차기능인 사고기능(T)을 개발할
필요가 있습니다. 그리고 열등기능인 직관기능(N)을 개발하지 않는다면 추상적인 아이디어,
영감, 이론 등을 소홀히 할 수도 있습니다.
주기능 | 성격 유형 | 원할한 주기능 발휘 | 경직된 상태 |
S(i) | ISTJ ISFJ |
사실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잘 다룸 |
자신의 경험과 알고 있는 사실에만 근거하여 독선적인 태도를 취함 |
S(e) | ESTP ESFP |
외부세계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선입견 없이 잘 받아들임 |
새로운 경험을 위해 소비적인 탐구를 함 |
출처 : (주)한국MBTI연구소
다음 포스팅에서는 주기능을 직관기능(N)으로 사용하는 INFJ, INTJ, ENFP, ENTP 유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'MBTI > MBTI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BTI 유형별 주기능의 이해 2편_INFJ,INTJ,ENFP,ENTP (16) | 2022.06.03 |
---|---|
유형별 심리기능의 위계를 찾는 방법 (2) | 2022.06.01 |
16가지 유형도표의 이해 (4) | 2022.05.31 |
MBTI 검사하는 법 (1) | 2021.06.30 |
MBTI 검사시 유의사항!! (0) | 2021.06.25 |